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장애인 표준사업장 인증 및 무상지원금 신청 방법 완전 정리

by jknation 2025. 9. 12.
반응형

장애인기업

장애인 표준사업장 인증 및 무상지원금 신청 방법 완전 정리

최근 공공조달, 고용부담금 감면, 사회적 책임 경영 등 다양한 이유로 장애인 표준사업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우리 사업장도 인증을 받아 무상지원금 혜택까지 누리고 싶다면 아래 내용을 꼭 확인해 보세요.

✅ 장애인 표준사업장이란?

장애인 표준사업장이란 장애인 근로자 수, 고용비율, 임금 및 시설 기준을 충족한 사업장이며,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심사를 통해 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인증 기준 요약

  • 장애인 근로자 수가 10명 이상
  • 장애인 편의시설 법적 기준 충족
  • 최저임금 이상 지급
  • 장애인 및 중증장애인 고용 기준 충족
장애인 및 중증장애인 고용기준
상시 근로자 수 장애인 고용 인원 중증장애인 고용 인원
100명 미만 30% 15%
100명 ~ 300명 미만 10% + 5명 5% + 3명 등
300명 이상 5% + 20명 2.5% + 10명 등

✅ 무상지원금 항목 및 한도

장애인 표준사업장으로 인증을 받은 경우 다음과 같은 다양한 항목에 대해 무상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지원 항목

  • 장애인 고용시설 설치·개선: 총비용의 3/4 한도 (단, 토지·임차보증금 제외)
  • 장애인 전용 출퇴근 차량 구입: 승합차 등 구입비 지원
  • 전문가 인건비 지원: 월 300만 원 한도 × 12개월의 3/4 지원
  • 창업초기 자금: 홍보비, 기자재 구입 등 최대 5천만 원 (단, 창업 후 3년 이내)
  • 면허·산업재산권 취득 비용: 특허 등록, 라이선스 취득 등

모든 지원금은 부가세 제외, 백만 원 미만은 절사 되며, 일부 항목은 별도 심사를 거칩니다.

✅ 장애인 표준사업장 인증 신청 절차

무상지원금 신청은 아래 서류를 구비하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지역본부 또는 홈페이지에 접수하면 됩니다.

■ 제출서류 목록

  • 장애인 표준사업장 지원금 신청서
  • 투자계획서
  • 청렴서약서
  •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동의서 (임차 건물의 경우)

심사를 통해 인증이 확정되면, 이후 각 항목에 대해 개별 신청서를 추가 제출하여 지원금을 순차적으로 집행받게 됩니다.

✅ 마무리 TIP

장애인 표준사업장은 단순한 인증제도가 아닙니다. 사회적 가치 실현과 더불어 공공조달 입찰 가점, 고용부담금 감면 등 실질적인 비즈니스 혜택이 수반되기 때문에 중소기업과 사회적 경제 기업이라면 꼭 도전해 볼 가치가 있습니다.

 

장애인 고용은 비용이 아닌 기회입니다. 지금 바로 우리 사업장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첫걸음, 장애인 표준사업장 인증을 준비해 보세요.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대표번호: 1588-1519
🌐 공단 홈페이지: https://www.kead.or.kr

 

장애인표준사업장 인증에 관하여 궁금하시면 언제든 문의주세요

장애인기업인증 전문가인 김종국 행정사가 해결합니다.

대표전화 1533-96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