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표준사업장 인증 및 무상지원금 신청 방법 완전 정리
최근 공공조달, 고용부담금 감면, 사회적 책임 경영 등 다양한 이유로 장애인 표준사업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우리 사업장도 인증을 받아 무상지원금 혜택까지 누리고 싶다면 아래 내용을 꼭 확인해 보세요.
✅ 장애인 표준사업장이란?
장애인 표준사업장이란 장애인 근로자 수, 고용비율, 임금 및 시설 기준을 충족한 사업장이며,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심사를 통해 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인증 기준 요약
- 장애인 근로자 수가 10명 이상
- 장애인 편의시설 법적 기준 충족
- 최저임금 이상 지급
- 장애인 및 중증장애인 고용 기준 충족
상시 근로자 수 | 장애인 고용 인원 | 중증장애인 고용 인원 |
---|---|---|
100명 미만 | 30% | 15% |
100명 ~ 300명 미만 | 10% + 5명 | 5% + 3명 등 |
300명 이상 | 5% + 20명 | 2.5% + 10명 등 |
✅ 무상지원금 항목 및 한도
장애인 표준사업장으로 인증을 받은 경우 다음과 같은 다양한 항목에 대해 무상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지원 항목
- 장애인 고용시설 설치·개선: 총비용의 3/4 한도 (단, 토지·임차보증금 제외)
- 장애인 전용 출퇴근 차량 구입: 승합차 등 구입비 지원
- 전문가 인건비 지원: 월 300만 원 한도 × 12개월의 3/4 지원
- 창업초기 자금: 홍보비, 기자재 구입 등 최대 5천만 원 (단, 창업 후 3년 이내)
- 면허·산업재산권 취득 비용: 특허 등록, 라이선스 취득 등
모든 지원금은 부가세 제외, 백만 원 미만은 절사 되며, 일부 항목은 별도 심사를 거칩니다.
✅ 장애인 표준사업장 인증 신청 절차
무상지원금 신청은 아래 서류를 구비하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지역본부 또는 홈페이지에 접수하면 됩니다.
■ 제출서류 목록
- 장애인 표준사업장 지원금 신청서
- 투자계획서
- 청렴서약서
-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동의서 (임차 건물의 경우)
심사를 통해 인증이 확정되면, 이후 각 항목에 대해 개별 신청서를 추가 제출하여 지원금을 순차적으로 집행받게 됩니다.
✅ 마무리 TIP
장애인 표준사업장은 단순한 인증제도가 아닙니다. 사회적 가치 실현과 더불어 공공조달 입찰 가점, 고용부담금 감면 등 실질적인 비즈니스 혜택이 수반되기 때문에 중소기업과 사회적 경제 기업이라면 꼭 도전해 볼 가치가 있습니다.
장애인 고용은 비용이 아닌 기회입니다. 지금 바로 우리 사업장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첫걸음, 장애인 표준사업장 인증을 준비해 보세요.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대표번호: 1588-1519
🌐 공단 홈페이지: https://www.kead.or.kr
장애인표준사업장 인증에 관하여 궁금하시면 언제든 문의주세요
장애인기업인증 전문가인 김종국 행정사가 해결합니다.
대표전화 1533-9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