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명의료 중단 동의서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차이 완벽 비교
서론
연명의료와 관련된 문서는 종류가 다양하지만, 특히 혼동되는 것이 연명의료 중단 동의서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입니다. 이름은 비슷하지만 작성 시점, 작성 주체, 법적 효력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 두 문서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상황에 맞는 문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1. 개념 정의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환자가 건강할 때 또는 의사 표현이 가능한 시점에, 본인의 연명의료 여부를 미리 결정하는 문서
- 연명의료 중단 동의서: 환자가 의사 표현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가족이 환자를 대신해 연명의료를 중단하는 것에 동의하는 문서
2. 차이점 비교표
구분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 연명의료 중단 동의서 |
---|---|---|
작성 시점 | 의사 표현이 가능한 시기 | 의사 표현이 불가능한 시기 |
작성 주체 | 환자 본인 | 환자의 가족 전원 |
법적 근거 | 연명의료결정법 제10조 | 연명의료결정법 제18조 |
효력 발휘 조건 | 회생 불가능 상태 + 의사 표현 불가능 | 회생 불가능 상태 + 가족 합의 |
우선순위 | 가족 의견보다 우선 | 의향서가 없을 때만 적용 |
3. 작성 절차
사전연명의료의향서
- 등록기관 방문
- 상담 및 법적 설명
- 본인 서명과 등록
연명의료 중단 동의서
- 담당 의사와 전문의가 회생 불가능 상태 진단
- 가족 전원의 동의 확보
- 의료기관 내 동의서 작성
4. 선택 기준
가능하면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미리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렇게 하면 갑작스러운 상황에서 가족들이 갈등을 겪지 않고, 본인의 의사가 법적으로 보장됩니다. 반면, 의향서가 없는 경우에는 연명의료 중단 동의서를 작성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가족 전원의 합의가 필수이므로 절차가 길어질 수 있습니다.
Tip: 가족 간 의사 불일치가 잦은 경우,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이 필수입니다.
5. 실제 사례
70대 남성 D 씨는 의향서를 작성하지 않은 채 뇌졸중으로 의식불명 상태가 되었습니다. 가족 중 한 명이 연명의료 중단에 반대하여, 동의서 작성이 지연되었고 환자는 불필요한 치료를 지속적으로 받게 되었습니다. 이 사례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필요성을 잘 보여줍니다.
6. 결론
연명의료 중단 동의서와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목적은 비슷하지만, 시점과 작성 주체가 전혀 다릅니다. 본인의 의사를 확실히 반영하려면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미리 작성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