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산재의 흔한 사례들 96 - 뇌경색은 산재로 인정될까? 회식 중 쓰러진 은행원의 산재 불승인 이유

by jknation 2025. 4. 25.
반응형

두뇌의 모형

 

 

뇌경색, 업무 스트레스로 인정될까? 회식 중 쓰러졌지만 산재 불승인된 사례

은행 행원이 회식 자리에서 갑작스레 쓰러져 중대뇌동맥 경색 및 편마비 진단을 받은 뒤 산업재해 신청을 했지만,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상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불승인 판정을 받았습니다.

 

이번 사례는 뇌혈관 질환의 업무상 질병 인정 기준을 명확히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회식 중 발생한 사고의 업무 연관성을 판단하는 기준도 함께 확인해 보겠습니다.

---

1. 사건 개요

  • 📅 발병일: 2019년 2월 22일
  • 🧑‍💼 직업: ○○은행 소속 행원 (근속 약 20년)
  • 🩺 진단명: 중대뇌 경색증, 이완성 편마비
  • 📍 발병장소: 사업장 내 고등학교 동창모임 회식 자리
  • 🚑 경과: 회식 중 쓰러져 병원 이송, 뇌경색 진단

---

2. 청구인의 주장 요지

  • 📌 발병 한 달 전 인사이동 → 업무 환경 급변
  • 📌 기업여신 업무 전담 → KPI 관리 등 스트레스 증가
  • 📌 업무지침 학습 등 퇴근 후에도 업무 연장
  • 📌 기저질환 無 → 개인적 원인으로 보기 어려움

청구인은 이와 같은 점들을 근거로 업무상 과로로 인한 뇌경색임을 주장했습니다.

---

3. 불승인된 이유는?

① 회식 자리가 ‘업무상 지배관리 하’에 해당하지 않음

  • ❌ 사업주 또는 관리자 참석 X
  • ❌ 공식 회식이나 지시 하에 참석한 자리 아님
  • ❌ 은행 동창생 간 사적인 친목 모임

② 뇌혈관질환의 과로 기준 미충족

  • 📉 발병 전 1주간: 47시간 13분
  • 📉 4주간 평균: 39시간 35분
  • 📉 12주간 평균: 36시간 54분
  • 👉 고용노동부 고시 기준인 ‘60시간 초과’, ‘30% 업무 증가’ 요건에 미달

③ 업무 스트레스 증거 부족

  • 🔁 유사 업무 경력 보유 (기업금융 담당)
  • 🔄 근무지 2층 → 1층으로 이동 (큰 환경 변화 아님)
  • 💼 KPI 정리 업무는 통상적 수준

---

4. 자문의사 및 판정위 판단

근로복지공단 자문의사업무상 질병판정위원회는 다음과 같이 판정했습니다.

  • 🧠 뇌 MRI 결과 중대뇌동맥 완전 폐색 확인
  • 📉 업무환경 변화나 스트레스 증가 입증 불충분
  • ⚖️ 통상적 업무 수준, 과로 기준 미충족 → 업무관련성 없음

결론적으로 **“업무와 무관하게 자연적으로 발생한 뇌경색”**으로 판단되어 산재가 불승인되었습니다.

---

5. 뇌혈관질환 산재 인정을 위한 핵심 체크리스트

산재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아래 조건 중 일부라도 반드시 충족되어야 합니다.

  1. ✅ 발병 직전 24시간 내 돌발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사건 발생
  2. ✅ 업무시간이 최근 12주간 평균 60시간 초과
  3. ✅ 업무강도나 환경의 급격한 변화
  4. ✅ 교대근무, 야근, 주말근무 등 업무부담 가중요인 존재
  5. ✅ 스트레스, 긴장 유발 업무 + 장시간 근무가 입증될 것

---

6. 결론 및 실무적 시사점

회식 자리에서 쓰러졌다고 하더라도, **업무 지시나 관리 범위 내에 있었다는 증거가 없다면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받기 어렵습니다.** 또한, 인사이동이 있었다고 해도 **기존과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거나 업무시간 증가폭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면 과로로 보기 어렵습니다.**

 

이번 사례는 다음과 같은 교훈을 줍니다:

  • 📌 **산재 신청 전, 업무 연관성 입증 자료 확보가 핵심**
  • 📌 업무시간, 스트레스, 환경 변화 등 객관적 수치가 필요
  • 📌 회식 자리, 지인 모임 등은 업무 관련성을 증명해야 인정 가능

---

📢 관련 법령 요약

  • 📖 산재보험법 제5조 (정의)
  • 📖 제37조 (업무상 재해 인정기준)
  • 📖 시행령 제34조 (업무상 질병의 인정기준)
  • 📖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7-117호 (업무부담 판단기준)
반응형